흥성대원군의 일화_쌍회정(雙檜亭)_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흥성대원군의 일화_쌍회정(雙檜亭)_ 대감 이유원(李裕元)이 정자를 크게 지은 후 낙성연을 베풀어 대원군을 초대했다. 대원군이 아직 정권을 잡고 있지 못할 때였다. 이유원은 자랑도 할 겸 정자 이름을 지어달라고 했다. 대원군이 .. 고전 이야기 2014.06.25
양생(養生)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양생(養生) 고대사회의 도사들은 자기들 나름대로 지켜야 할 사항들을 시행하면서 무병장수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여기에 그들의 장수 비결인 양생에 관한 경계 사항을 몇 가지 소개한다. 지나치게 성내면 기를 상하게 하고, .. 고전 이야기 2014.06.24
분야(分野)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분야(分野) 전국시대에 천문가들이 각각의 나라들을 나누어 별자리에 배당한 것을 `분야`라고 한다. 전국시대에는 어느 나라의 분야에 별자리가 이상해지면 그 나라에 재앙이 닥친다고 믿었다. 분야라는 말이 요즘에도 자주 쓰이.. 고전 이야기 2014.06.23
남편을 요강에 빠뜨린 아내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남편을 요강에 빠뜨린 아내 <고금소청(古今笑叢)>에 나오는 이야기다. 몸집이 소처럼 큰 신부와 주먹만한 신랑이 첫날밤을 치르게 되었다. 쥐꼬리만한 신랑의 모습에 화가 난 신부가 신랑을 요강 속으로 집어던졌다. 그러자 요.. 고전 이야기 2014.06.22
공작병(孔雀屛)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공작병(孔雀屛) 이인로(李仁老)가 한림원(翰林院)ㅡ승정원(承政院)ㅡ에서 숙직을 서면서 시를 지었다. 孔雀屛深獨影撤(공작병심독영철) 鴛鴦雙宿豈分飛(원앙쌍숙기분비) 自燦憔최直樓女(자찬초최직루여) 長爲他人作嫁衣(장위타.. 고전 이야기 2014.06.21
낙선방(樂善坊)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낙선방(樂善坊) 조선 성종 때 문인 조신(曺伸)이 찬술한 <수문쇄록(수聞鎖錄)>에 나오는 이야기다. "성화(成化) 병술년(1466)에 나이가 어린 시골 선비 조기종(趙起宗)이란 자가 낙선방에 와 살면서 나와 함께 남부학당(南部學堂).. 고전 이야기 2014.06.20
낙선방(樂善坊)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낙선방(樂善坊) 조선 성종 때 문인 조신(曺伸)이 찬술한 <수문쇄록(수聞鎖錄)>에 나오는 이야기다. "성화(成化) 병술년(1466)에 나이가 어린 시골 선비 조기종(趙起宗)이란 자가 낙선방에 와 살면서 나와 함께 남부학당(南部學堂).. 고전 이야기 2014.06.19
주주공을 읊다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주주공을 읊다 이규보가 어느 날 많은 닭들이 벌레를 쪼아 먹는 것을 보았다. 그는 벌레가 닭에게 쪼아 먹히는 것이 불쌍하게 생각되었다. 그 닭이 미워서 쫓으며 시를 짓기를, 朱朱公(주주공) 好喙蟲(호훼충) 予不忍親(여불인친) .. 고전 이야기 2014.06.18
종룡(從龍)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종룡(從龍) 서하(西河) 임원준(任元濬)의 자는 자심(子深)이다. 세종 때 사람으로서 총명함과 박식함이 남달랐으나 일찍이 어떤 일에 관련되어 경남 밀양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때 관찰사가 지방 순시를 하던 중 임원준의 문장.. 고전 이야기 2014.06.17
햇볕에 쪼이는 책 고전(古典) 이야기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햇볕에 쪼이는 책 세상에 임금도 무서워하는 관리가 있었다. 바로 사관(史官)이다. 사관이 하는 일은 주로 대궐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기가 본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임금의 권한도 그 손길이 닿지 않는다. 그리하여 한 .. 고전 이야기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