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 들고 혼자 안자 - 윤 선 도 -
잔 들고 혼자 안자 먼 뫼흘 바라보니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옴이 이러하랴
말삼도 우움도 아녀도 몯내 됴하 하노라.
[현대어 풀이]
◎술잔을 들고 혼자 앉아서 먼 산을 바라보니
◎그리워하던 님이 오신다고 해도 반가운 것이 이만큼이야
하겠는가?
◎(비록 산이) 말도 없고 웃지 않아도 늘 못견디게 좋구나.
[이해와 감상]
고산 윤선도의 시 세계는 자연과 자아가 혼연일체가 되는
데에 있다. 자아가 완전히 자연 속에 몰입된 상태, 자연이
곧 나요, 내가 곧 자연이라는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이 시
조는 자연 속에 몰입되어 있는 작자의 정취와 시상이 잘
나타난 작품이다.
어지러운 인간의 속세를 떠나 자연과 벗하며 혼자서 술잔
을 들고 호젓하게 먼 산과 경치를 두루 살펴 보는 것이, 그
리운 님을 만난 것보다도 더 반갑고 흐뭇하다는 것이다.
높고 큰 산의 침묵이 자연에 대한 믿음을 가져다 주고 있
으며, 술과 아름다운 자연은 작자의 흥취와 함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서경의 운치를 돋아주고 있다.
멀리 바라다 보이는 산과 혼연일체를 이루는 경지에 이르
게 되자, 이루 말할 수 없는 즐거움이 생긴다는 것이다. 말
이 없는 자연이라 하더라도 그 다정함이 그리운 임보다 더
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정리]
□ 성격 : 평시조, 연시조(전6수인 [만흥] 중의 한 수),
강호한정가
□ 주제 : 자연과의 물아지경(物我之景)을 즐거워 함.
자연에 묻혀 사는 은사(隱士)의 한정(閑情)
□ 출전 : <고산유고>
[참 고]
# 윤선도의 삶과 자연
고산은 성질이 강직하여 20여 년을 귀양살이로, 19년 간을
은거 생활로 보냈다. 이러한 가운데서 이루어진 그의 시조
는 맑고 깨끗한 정서를 아름다운 우리말로 잘 살려내고 있
으며, 자연을 시로써 승화시킨 천재적인 시인이었다.
고산의 귀양과 은거는 오히려 혼란한 정계에서 벗어나 자
연 속에 묻혀서 산수(山水)를 즐기며, 유유자적(悠悠自適)
하는 생활을 노래하게 하는 듯하다. 그러나 그것을 모두
성은(聖恩)으로 돌리고 있음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공통된
의식구조라 하겠다.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