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만 가(輓歌)

eorks 2010. 1. 14. 08:42
故 事 成 語

만 가(輓歌)

輓:
수레 끌 만. 歌:노래 가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


    한(漢)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즉위하기 직전의 일이다.
    한나라 창업 삼걸(三傑) 중 한 사람인 한신(韓信)에게 급습 당한 제왕 (齊王) 전
    횡(田橫)은 그 분풀이로 유방이 보낸 세객(說客) 역이 기( 食其)를 삶아 죽여 버
    렸다.
    이윽고 고조가 즉위하자 보복을 두려워한 전횡은 500여 명의 부하와 함께 발
    해만(渤海灣)에 있 는 지금의 전횡도(田橫島)로 도망갔다.
    그 후 고조는 전횡이 반란을 일으킬까 우려하여 그를 용서하고 불렸다.
    전횡은 일단 부름에 응했으나 낙양을 30여리 앞두고 스 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
    고 말았다.
    포로가 되어 고조를 섬기는 것 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전횡의 목을 고조에게 전한 고조에게 전한 두 부하를 비롯해서 섬에 남아있던
    500여 명도 전횡의 절개 를 경모하여 모두 순사(殉死)했다.
    그 무렵, 전횡의 문인(門人)이 해로가(해露歌) 호리곡(蒿里曲)이 라는 두 장(章)
    의 상가(喪歌)를 지었는데 전횡이 자결하자 그 죽 음을 애도하여 노래했다.

    《해로가》
    해上朝露何易晞=해상조로하이희
부추 잎의 이슬은 어찌 그리 쉬이 마르는가
    露晞明朝更復落=노희명조갱부락 이슬은 말라도 내일 아침 다시 내리지만
    人死一去何時歸=인사일거하시귀 사람은 죽어 한 번 가면 언제 다기 돌아오나

    《호리곡》
    蒿里誰家地=호리수가지
호리는 뉘 집터인고
    聚斂魂魄無賢愚=취렴혼백무현우 혼백을 거둘 땐 현 우가 없네
    鬼伯一何相催促=귀백일하상최촉 귀백은 어찌 그리 재촉하는고
    人命不得少 =인명부득소지주
인명은 잠시도 머뭇거리지 못하네

    이 두 상가는 그 후 7대 황제인 무제(武帝:B.C.141∼87) 때에 악부 (樂府) 총재
    인 이연년(李延年)에 의해 작곡되어 해로가는 공경귀인 (公卿貴人), 호리곡은
    사부서인(士夫庶人)의 장례 시에 상여꾼이 부르는 '만가'로 정해졌다고 한다.


    ※해로가 : 인생은 부추 잎에 맺힌 이슬처럼 덧없음을 노래한 것. 호 리 : 산동
                     성(山東省)의 태산(泰山) 남쪽에 있는 산 이름. 옛 중국인들은 사람
                     이 죽으면 넋이 이곳으로 온다고 믿어 왔음.

    [출 전]《古今 》<音樂篇〉《晉書》《古詩源》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석 꾼(萬石君)  (0) 2010.01.16
만사휴의(萬事休矣)  (0) 2010.01.15
막역지우(莫逆之友)  (0) 2010.01.14
마이동풍(馬耳東風)  (0) 2010.01.14
마생각(馬生角)  (0) 2010.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