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무용지용(無用之用) 無:없을 무. 用:쓸 용, 之:어조사 지, 用:쓸 용 쓸모가 없는 것이 도리어 크게 쓰여진다는 말.
《莊子》 <人間世篇>에 楚의 은사(隱士) 광접여(狂接輿)가 孔子에 대해 評하면서, "산 속의 나무는 有用하기에 벌채 (伐採)되어 자신의 원수가 되고, 기름은 밝은 빛을 내기에 태워져 자신을 태우며, 육계(肉桂)는 사료가 되고 옻은 도 료 (塗料)가 되기에 베어진다. 有用의 用만 알고, 無用의 用은 알려고 하지 않으니 서글픈 일이다고 하였 다. 이 말은 孔子 가 인의(仁義)로써 난세를 다스리려는 것을 풍자(諷刺)한 것 으로, 조그만 有用은 오히려 자신을 망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莊子가 말하였다. "땅이란 사람이 서있기 위하 여 발을 들여 놓을 정도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딛고 있는 땅 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락(奈落-지옥)까지 팠다고 해보 자. 그래도 발 밑 땅만이 有用하다고 하겠는가?" 弟子가 여행을 하다가 가지가 울창한 큰 상수리나무를 보 았다. 나뭇꾼이 손 도 되지 않았다. 이유를 물으니 莊子가 답했다. "이 나무는 아무 쓸모가 없었기에 천수(天壽)를 다할 수 있 었던 게지." "선생님은 有用한 것과 無用한 것 중 어느 쪽을 택하시렵 니까?" "有用, 無用의 中間이라 할까? 道의 세계는 칭찬도 욕도 먹지 않고 순응하 여 다투지 않고 사는 것, 物을 통제하더 라도 物에 제어되지 않는 것, 그러면 아무 누도 끼치지 않 을 것이다." 장자는 모두가 자연 그대로의 있는 것이 최고의 상태라고 생각했다. 약삭빠른 지혜를 작용시키는 것보다, 이 상수리 나무처럼 쓸모가 없다는 것 으로서 자연의 수명을 다한다. 그것이 곧 진짜 쓰임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