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문전작라(門前雀羅) 門:문 문. 前:앞 전, 雀:참새 작, 羅:그물 라 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는 뜻으로, 권세를 잃거나 빈천(貧賤)해지면 문 앞(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말.
전한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급암(汲 )과 정당시(鄭當詩)라는 두 현신 (賢臣)이 있었다. 그들은 한때 각기 구경(九卿:9개 부처 의 각 으뜸 벼슬)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었지만 둘 다 개성 이 강한 탓에 좌천 면직 재등용을 되풀이하다가 급 암은 회양 태 수(淮陽太守)를 끝으로 벼슬을 마쳤다. 이들이 각기 현직에 있을 때에는 방문객이 늘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면직되 자 방문객의 발길이 뚝 끊어졌다. 이어 사마천(司馬遷)은《사기(史記)》<급정열전(汲鄭列傳)>에 서 이렇게 덧붙여 쓰고 있다. "급암과 정당시 정도의 현인이라도 세력이 있으면 빈객(賓客)이 열 배로 늘 어나지만 세력이 없으면 당장 모두 떨어져 나간다. 그러나 보통 사람의 경우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또 적공(翟公)의 경우는 이렇다. 적공이 정위(廷尉)가 되자 빈 객이 문전성시 를 이룰 정도로 붐볐다. 그러나 그가 면직되자 빈객은 금새 발길을 끊었다. 집 안팎이 어찌나 한산한지 '문앞 (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수 있을 정도[門外 可設雀羅]'였다. 얼마 후 적공은 다시 정위가 되었다. 빈객들이 몰려들자 적공 은 대문에 이렇게 써 붙였다. 一死一生 卽知交情(일사일생 즉지교정) 한 번 죽고 한 번 삶에 곧 사귐의 정 을 알고 一貧一富 卽知交態(일빈일부 즉지교태) 한 번 가난하고 한 번 부함 에 곧 사귐의 태도를 알며 一貴一賤 卽見交情(일귀일천 즉현교정) 한 번 귀 하고 한 번 천함에 곧 사귐의 정은 나타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