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성으로 적을 교란한 지혜 牧民心書 제8장 병전 6조[국방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빈 성으로 적을 교란한 지혜 兵法曰虛而示之實과 實而示之虛라 하니 此又守禦者는 所宜之也니라. 병법왈허이시지실과 실이시지허라 하니 차우수어자는 소의지야니라. 병법(兵法)에 `허하면 실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실하면 허.. 牧民心書 2011.03.08
남의 말을 쉽게 믿은 게 화근 牧民心書 제8장 병전 6조[국방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남의 말을 쉽게 믿은 게 화근 訛言之作은 或無根而自起하고 或有機而將發하니 牧之應之也에 와언지작은 혹무근이자기하고 혹유기이장발하니 목지응지야에 或靜而鎭之하고 或默而察之니라. 혹정이진지하고 혹묵이찰지니라. .. 牧民心書 2011.03.07
하늘도 속인 임기응변의 지혜 牧民心書 제8장 병전 6조[국방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하늘도 속인 임기응변의 지혜 守令은 乃佩符之官이라 機事多不虞之變하니 應變之法을 수령은 내패부지관이라 기사다불우지변하니 응변지법을 不可不預講이니라. 불가불예강이니라. 목민관은 곧 병부를 가진 관원이어서 앞일.. 牧民心書 2011.03.06
웃음 뒤에 감춘 칼을 조심해야 牧民心書 제8장 병전 6조[국방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웃음 뒤에 감춘 칼을 조심해야 兵者는 兵器也라. 兵可百年不用이나 不可一日無備니 修兵者는 병자는 병기야라. 병가백년불용이나 불가일일무비니 수병자는 土臣之職也니라. 토신지직야니라. 병(兵)이란 병기(兵器)를 가리킨다... 牧民心書 2011.03.05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다짐함 牧民心書 제8장 병전 6조[국방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다짐함 若年豊備弛라도 朝令無停하여 以行習操則其充伍飾裝을 약년풍비이라도 조령무정하여 이행습조즉기충오식장을 不得不致力이니라. 부득불치력이니라. 만약 풍년이 들어 방비가 완화되더라도, 군.. 牧民心書 2011.03.04
8.兵典 6條(병전 6조) 牧民心書 8. 兵典 6條(병전 6조) 제1조 첨정(簽丁) : 장정은 군적(軍籍)에 실어야 ◎ 군정을 정하고 그들에게 베를 거두는 법은 양연(梁淵)에게서 시작되 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폐단이 점점 커져서 백성들의 뼈에 사무치 는 병이 되어. 이 법을 고치지 않으면 백성들이 모두 죽고 말 것이.. 牧民心書 2011.03.03
땅보다는 형제의 우애가 더 중요 牧民心書 제7장 예전 6조[예절과 교육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땅보다는 형제의 우애가 더 중요 兄弟不友하고 은訟無恥者도 亦姑敎之하여 勿庸殺之나라. 형제불우하고 은송무치자도 역고교지하여 물용살지니라. 형제끼리 우애하지 않고 부끄러움이 없이 송사를 하는 자도 우선은 먼.. 牧民心書 2011.03.02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먹고 사는 일 牧民心書 제7장 예전 6조[예절과 교육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먹고 사는 일 束民爲伍하여 以行鄕約도 亦古鄕黨州族之遺意니 威惠旣洽이면 속민위오하여 이행향약도 역고향당주족지유의니 위혜기흡이면 勉而行之可也니라. 면이행지가야니라. 백성을 다섯 집.. 牧民心書 2011.03.01
음식으로 고과 관리를 한 이유 牧民心書 제7장 예전 6조[예절과 교육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음식으로 고과 관리를 한 이유 貧者는 五禮之一이라 其희牢諸品이 已厚則傷財하고 已薄則失歡이니라. 빈자는 오예지일이라 기희뢰제품이 이후즉상재하고 이박즉실환이니라. 先王爲之節中祭禮하여 使厚者不得踰하고 .. 牧民心書 2011.02.28
제문은 정성들여 손수 지어야 牧民心書 제7장 예전 6조[예절과 교육에 관하여 알아야 할 사항들] 제문은 정성들여 손수 지어야 祈雨祭文은 宜自新製이니 或用舊錄은 大非禮也니라. 기우제문은 의자신제이니 혹용구록은 대비예야니라. 기우제의 축문은 마땅히 손수 새로 지어야 한다. 혹 전에 쓰던 것을 쓰는 것은 예.. 牧民心書 201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