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롱망촉(得壟望蜀) 得:얻을 득. 壟:언덕 롱. 望:바랄 망. 蜀:나라이름 촉 농땅을 얻으니 촉나라까지 얻고 싶다는 말로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음. 그 때 나라안은 군웅이 할거하고 있었는데, 장안(長安)에 적미(赤眉), 농서 에 외효, 하서(河 西)에 공손술(公孫述), 수양(雖陽)에 유영(劉永), 노강(盧 江)에 이헌 (李憲), 임치(臨淄)에는 장보(張步) 등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 고 있었다. 이중에 長安의 赤眉, 雖陽에 유영(劉永), 盧江에 이헌(李憲), 蜀의 公孫述 등 은 황제의 칭호를 붙이고 있었다. 光武帝는 赤眉, 劉永, 李憲, 張步 등을 모두 토벌하고 나서 그들에게 물었다. 그들 중 서선 이라는 자가 말했다. "저희들은 호랑이 입에서 벗어나 어머니의 품에 돌아왔다고 생각합 니다. 항복한 것을 만족스럽게 생각할 뿐, 후회는 없습니다." 이 말을 들은 유수는 서선을 향해 만족스럽게 말했다. "그대는 철중쟁쟁(鐵中錚錚:무리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이고 용중 교교 (庸中교교(人+交)로다." 유수는 그들에게 낙양에 살곳을 마련하고 전답을 하사했다. 이제 남은 것은 농서의 외효와 蜀의 公孫述이 문제였다. 외효는 光武 帝에게서 서주상장군(西州上將軍)이란 칭호를 받은 적 있었으 나, 光 武帝의 세력이 커지자 公孫述과 제휴(提携)하여 대항하려 들었다. 그러나 公孫述은 이에 응하지 않고 외효가 보낸 사신을 푸대접하여 돌려 보 냈다. 그리고는 光武帝와의 맹약(盟約)을 더욱 두터이 했다. 한편 외효도 光武帝로부터 부하로서 섬길 것을 강요당하자 이에 대항 하였 으나 도중에 병으로 죽고, 그의 아들 구순(寇恂)이 항복함으로써 농서는 光 武帝에 의 손에 평정되고 말았다. 이에 光武帝는 다음과 같 이 말했다. "사람은 본시 욕심이 한이 없는 것이오. 이미 농(壟)을 얻고 또 다시 촉(蜀) 평정하고 싶소. 나는 군사를 한 번 출병시킬 때마다 흰머리가 자꾸만 늘어 나오." 이 말은 원정군의 노고를 생각하면 자신은 한없이 괴로워지는데, 자신의 욕 심은 끝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듬 해 드디어 대군을 몸 소 거느리고 蜀을 쳐 깨뜨리고 천하를 평 정하였다. 得壟望蜀은 여기 서 비롯된 말로서 인간의 욕심이 끝이 없음을 말할 때 쓴 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용문(登龍門) (0) | 2010.01.14 |
---|---|
득어망전(得魚忘筌) (0) | 2010.01.14 |
득기소(得其所) (0) | 2010.01.12 |
두 찬(杜撰) (0) | 2010.01.11 |
두주불사(斗酒不辭) (0) | 201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