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배반낭자(杯盤狼藉)

eorks 2010. 2. 1. 21:09
故 事 成 語












배반낭자(杯盤狼藉)



                     
                      盃:
잔 배. 盤:쟁반 반. 狼:이리 낭. 藉:어지러울 자
   
    술잔과 접시가 마치 이리에게 깔렸던 풀처럼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
    곧 ① 술을 마시고 한창 노는 모양.
        ② 술자리가 파할 무렵 또는 파한 뒤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양.


    전국 시대 초엽, 제(齊)나라 위왕(威王) 때의 일이다.

    초(楚)나라의 침략을 받은 위왕은 언변이 좋은 순우곤(淳于 )을 조(趙)
    라에 보내어 원군을 청했다.

    이윽고 순우곤이 10만의 원군을 이끌고 돌아오자 초나라 군사는 밤의 어
    둠을 타서 철수 하고 말았다.
 
    전화(戰禍)를 모면한 위왕은 크게 기뻐했다.

    이어 주연을 베풀고 순우곤을 치하하며 환담했다.

    "그대는 얼마나 마시면 취하는고?"

    "신(臣)은 한 되[升]를 마셔도 취하옵고 한 말[斗]을 마셔도 취하나이다."

    "허, 한 되를 마셔도 취하는 사람이 어찌 한 말을 마실 수 있단 말인고?"
 
    "예, 경우에 따라 주량이 달라진다는 뜻이옵니다. 만약 고관대작 (高官大
    爵)들이 지켜보는 자리에서 마신다면 두려워서 한 되도 못 마시고 취할 것
    이오며, 또한 근엄한 친척 어른들을 모시고 마 신다면 자주 일어서서 술잔
    을 올려야 하므로 두 되도 못 마시고 취할 것이옵니다.

    옛 벗을 만나 회포를 풀면서 마신다면 그땐 대 여섯 되쯤 마실 수 있을 것
    이옵니다.

    하오나 동네 남녀들과 어울 려 쌍륙(雙六:주사위 놀이)이나 투호(投壺:화
    살을 던져 병 속에 넣는 놀이)를 하면서 마신다면 그땐 여덟 되쯤 마시면
    취기가 두 서너 번 돌 것이옵니다.

    그리고 해가 지고 나서 취흥이 일면 남녀 가 무릎을 맞대고 신발이 뒤섞이
    며 '술잔과 접시가 마치 이리에게 깔렸던 풀처럼 어지럽게 흩어지고[杯盤
    狼藉]' 집 안에 등불이 꺼 질 무렵 안주인이 손님들을 돌려보낸 뒤 신(臣)
    곁에서 엷은 속적 삼의 옷깃을 헤칠 때 색정적(色情的)인 향내가 감돈다면
    그땐 한 말이라도 마실 것이옵니다."


    이어 순우곤은 주색을 좋아하는 위왕에게 이렇게 간했다.

    "전하,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픈 일이
    생긴다[樂極 生]'고 하였사오니 깊이 통촉하시오소서."


    위왕은 그후 술을 마실 때에는 반드시 순우곤을 옆에 앉혀 놓고 마셨다고
    한다.


    [출 전]《史記》<滑稽列傳(골계열전)>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년하청(百年河淸)  (0) 2010.02.01
백구과극(白駒過隙)  (0) 2010.02.01
방약무인(傍若無人)  (0) 2010.02.01
발분망식(發憤忘食)  (0) 2010.02.01
발본색원(拔本塞源)  (0) 201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