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521

내우외환(內憂外患)

故 事 成 語내우외환(內憂外患) 內:안 내. 憂:근심 우. 外:바깥 외. 患:근심 환     안의 근심과 밖의 재난. 곧 근심·걱정 속에 사는 것을 뜻함.     송(宋)나라에 환원이라는 대부(大夫)가 있었다.     그는 지성을 다해 진(晉)과 초(楚)를 설득하여 기원전 579년에 송나라    의 서문 밖에서 양국의 대표자가 맹약을 조인케 하였다.     그 맹약의 주된 내용은 서 로 침범하지 않을 것을 기본 골격으로 하고,    환란이 있을 때엔 서로 도우며 복종하지 않은 나라가 있을 때에는 두    나라가 연합하여 공 벌한다는 내용이었다.     이것은 남북을 대표하는 두 나라가 평화를 유지함으로써 천하의 소란    을 가라앉히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맹약이 깨어진 것은 3년이 지나서였다. ..

고사성어 2009.11.28

노마지지(老馬之智)

故 事 成 語노마지지(老馬之智) 老:늙을 로. 馬:말 마. 之:어조사 지. 智:지혜 지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     춘추 시대, 오패(五 )의 한 사람이었던 제(齊)나라 환공 (桓公:재위 B.C.    685∼643)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管仲:?∼B.C.645)과 대부 습붕(鈒朋)을    데리고 고죽국 [孤竹國:하북성(河北省) 내]을 정벌하러 나섰다.     그런데 전쟁이 의 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그 해 겨울에야 끝이 났다.     그래서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전군(全軍)이 진퇴 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했다         "이..

고사성어 2009.11.27

내조지공(內助之功)

故 事 成 語내조지공(內助之功) 內:안 내, 助:도울 조, 之:어조사 지, 力:힘 력    안에서 돕는 공. 아내가 가정에서 남편이 바깥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요즘은 남편이 밖에서 충분한 활동을 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아내가     집밖에서 뒷받침해 준다는 뜻으로 쓰인다.     曹操(조조)가 魏(위)나라 武帝(무제)가 되자 후계 문제로 한동안 고민    했다.     맏아들인 曹丕(조비)로 할 것인가, 아니면 그 아우인 똑똑 하고 문장이    뛰어난 曹植(조식)으로 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였다.     결국 조비가 황태자로 정해졌는데 조비가 황태자가 된 데에는 뒤에 황    후가 된 郭(곽)씨의 도움이 컸다.     조식이 형인 조비보다 똑똑한데 다 조조가 조식을 偏愛(편애)..

고사성어 2009.11.26

낭 패(狼狽)

故 事 成 語낭 패(狼狽) 狼:이리 랑. 狽:이리 패     다리 없는 두 마리의 이리가 처한 곤경. 조급한 나머지 다급하여 조치    를 잘못함.     '낭패'라는 말은 우리의 일상 생활 중에 자주 쓰이는 말이다.     어떤 일을 도모했을 때 잘 풀리지 않아 처지가 고약하게 꼬이는 경우에    사용한다.     '낭'이나 '패'나 한결같이 개사슴록(犬)변으로 이뤄졌다.     한자에서 犬변이 들어 있는 글자는 모두 동물이거나 또는 동물의 특성    을 함축 한 글자다.     예를 들면 여우 호(弧), 개 구(狗), 삵쾡이 리(狸), 돼지 저(猪), 고양이    묘(猫) 등등이다.     물론 狼과 狽도 마찬가지다. 낭패는 전설상의 동물이다. 낭은 태어 날    때부터 뒷다리 두 개가 없거나 아주..

고사성어 2009.11.25

낭중지추(囊中之錐)

故 事 成 語낭중지추(囊中之錐)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錐:송곳 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남의 비유.     전국 시대 말엽, 진(秦)나라의 공격을 받은 조(趙)나라 혜문왕 (惠文王)    은 동생이자 재상인 평원군(平原君:趙勝)을 초(楚)나 라에 보내어 구원    군을 청하기로 했다.     문무의 덕을 겸비한 20 명의 수행원이 필요한 평원군은 그의 3000여    식객(食客) 중에 서 19명은 쉽게 뽑았으나 나머지 한 사람을 뽑지 못해    고심하 고 있었다.     이 때 모수(毛遂)라는 식객이 자천(毛遂自薦)하고 나섰다.     "나리, 저를 데려가 주십시오."     평원군은 어이없다는 얼굴로 이..

고사성어 2009.11.24

낭자야심(狼子野心)

故 事 成 語낭자야심(狼子野心) 狼:이리 랑, 子:아들 자, 野:들 야, 心:마음 심    늑대 새끼는 작아도 흉포한 성질이 있어 길들이기가 어렵다. 흉포한     사람의 마음은 교화하기 힘들다     춘추 시대 楚(초)나라의 鬪子文(투자문)은 若敖(약오)씨의 후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태어난 직후 들에 버려졌는데 호랑이가 주워 다가    길렀다고 한다.     나중에 그를 발견한 사람이 "이 아이에게는 복이 있다"며 데리고 갔다.    투자문은 뒤에 초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사람 됨됨이가 공정하며, 법 집행도 엄정 공명했다.     한 번은 그의 친척이 법을 어긴 일이 있 었으나 담당 관원이 체면을 생    각하여 그를 석방했다.     그것을 안 투자문은 즉시 담당 관원에게 말했다...

고사성어 2009.11.23

남풍불경(南風不競)

故 事 成 語남풍불경(南風不競) 南:남녘 남. 風:바람 풍. 不:아닐 불. 競:굳셀 경    남방의 풍악은 굳세지 않다는 말로, 어떤 나라에서 불려지는 노래나     풍속을 보면 대체로 기세나 힘이 있고 없음을 알 수 있다는 것임.     춘추시대 말 주영왕 17년, 노양공 18년 때의 일이다.     정나라의 자공이라는 야심가가 살고 있었는데, 그는 자신의 출세에 방    해 가 되는 대부드을 제거하고 권력을 독차지 하려고 혈안이 되었다.    그 당시 제후들은 진나라를 맹주로 하여 포학한 제나라를 멸망시키기    위해 포위망을 좁혀 가고 있었다.     그런데 자공은 이 틈을 타서 남쪽 지방의 초나라 군대를 선동하여 자기    의 출세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대부들을 제거하려고 계획 했다.     그..

고사성어 2009.11.22

남 취(濫吹)

;故 事 成 語남 취(濫吹) 濫:함부로 람(남), 吹불 취     함부로 불다. 엉터리로 불다.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거나 실    력이 없는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     전국시대 제(齊)나라 선왕(宣王)은 우(생황처럼 생겼으나 좀더 큰 악    기) 소리 듣기를 좋아했다.     그것도 독주(獨奏)보다 여러 사람이 합주하는 것을 좋아해서 언제나     3 백명의 악사들로 하여금 연주케 했다.     어느날 남곽(南郭)이란 사람이 찾아와 선왕에게 우를 불겠다고 했다.    그를 상당한 솜씨가 있는 악사로 안 임금은 기뻐하며 높은 급료로 고    용하여 취우대의 한 대원으로 있게 해 주었다.     남곽은 쟁쟁한 악사들 중에 섞여 그럴듯하게 흉내를 내면서 열심히 부    는 체했..

고사성어 2009.11.21

남전생옥(藍田生玉)

故 事 成 語남전생옥(藍田生玉) 藍:쪽 람, 田:밭 전, 生:날 생, 玉:구슬 옥    남전은 예로부터 아름다운 옥이 산출하듯이 명문에서 훌륭한 인물이    나온다는 뜻.     남전(藍田)은 산사성에 있는 산 이름으로 옥의 명산지. 남전이 예 로부    터 명옥(名玉)을 산출하듯 명문에서 훌륭한 인물이 나온다는 뜻이다.    제갈량(諸葛亮)은 촉(蜀)나라 유비(劉備)를 섬겼지만 그의 형 근 (瑾)은    오(吳)나라 손권(孫權)의 신임을 받는 신하였다.     제갈근에 게는 각(恪)이라는 총명한 아들이 있었는데 각이 여섯 살때    어느 날 아버지를 따라 조정의 연회에 참석했다.     각의 비상한 재주를 들어서 잘 알고 있는 손권은 각에게 장난을 걸고    싶어졌다.     사람을 시켜 당나귀 한마리..

고사성어 2009.11.20

남원북철(南轅北轍)

故 事 成 語남원북철(南轅北轍)南:남녘 남. 轅:끌채 원. 北:북녘 북. 轍:바퀴자국 철    수레의 긴 채는 남쪽으로 가고 바퀴는 북쪽으로 간다는 말로, 행동이    마음과 일치하지 않음.     전국시대 위나라 왕이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공격하려는 계획을 세웠    다.     때마침 여행을 하고 있던 신하 계량이 이 소식을 듣고 급 히 돌아왔다.    그는 왕을 뵙고 말했다.     "저는 길에서 어떤 사람을 만났는데, 북쪽을 향해 가고 있는 것이 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으로 가는 까닭이 무엇입니까?라    고 묻자,     그는 '제 말은 아주 잘 달립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말이 잘 달려도 이쪽은 초나라로 가는 길이 아닙니다.'..

고사성어 200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