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521

득기소(得其所)

故 事 成 語득기소(得其所)                                    得:얻을 득. 其:그 기. 所:곳 소     알맞거나 어울리는 자리를 얻음. 능력이나 적성에 걸맞아서 만족스러운    상태에 놓여 있는 것.     춘추시대 鄭(정)이라는 조그마한 나라에 子産(자산)이라는 훌륭한 정치가    가 있었다.     정나라가 강대국인 楚(초)나라와 晉(진)나라 사 이에 끼여 있으면서도 명    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子産같은 유 능한 정치가가 있었기에 가능했    다.     자산은 20여년간 재상자리에 있으면서 나라의 紀綱(기강)을 바로 잡는데    힘썼으며 외교 능력도 뛰어나 주변 강대국들의 침략 의도 를 번번이 挫折    (좌절)시키는 등 많은 治積(치적)을 쌓았다.     ..

고사성어 2010.01.12

두 찬(杜撰)

故 事 成 語두 찬(杜撰)杜:말을 두. 撰:글지을 찬     杜默(두묵)이 지은 작품. 典據(전거)가 확실하지 못한 저술이나 틀린 곳이     많은 작품을 말함.     두묵은 宋(송)나라 때 문인으로 그가 지은 시는 당시의 大家(대가) 歐陽修(구    양수)의 작품과 함께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두묵은 흔히 규칙에 어긋난 시, 다시 말하면 韻律(운율)이 맞지 않는    시를 지었 는데 그 破格(파격) 때문에 인기를 끌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격 식에 맞지 않는 詩文을 가리켜 [두묵의 작품](杜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송나라의 왕무가 지은 [야객총서]에 나오는 말 이다. 왕무는 이 책에서 이렇    게도 적고 있다.     "일반적으로 杜는 '그 땅에서 나는 토산물'..

고사성어 2010.01.11

두주불사(斗酒不辭)

故 事 成 語두주불사(斗酒不辭)斗:말 두. 酒:술 주. 不:아니 불. 辭:말씀 사    말술도 사양하지 아니한다. 곧 주량이 매우 크다.     유방(劉邦)이 秦(진)나라 수도 함양을 함락시키고 진나라 왕 자영 으로부    터 항복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항우(項羽)는 분노가 머리끝까지 치솟    아 유방을 칠 각오를 다졌다.     유방 또한 항우가 이를 갈고 있다는 걸 알고 항우의 진중에 나아가 해명했    다. 이를 역사책에서는 [홍문의 만남(鴻門之會)]이라고 한다.     유방의 변명에 항우는 고개를 끄덕였으나 항우의 모신(謀臣) 范增 (범증)    은 이를 호기(好機)로 항우의 사촌동생으로 하여금 칼춤을 추게 하여 유방    의 목숨을 노렸다.     유방이 위급한 처지에 있는 걸 알게 된 ..

고사성어 2010.01.11

두견화(杜鵑花)

故 事 成 語두견화(杜鵑花)杜:막을 두. 鵑:두견새 견. 花;꽃 화     진달래꽃. 죽은 망제(望帝)의 혼이 담긴 꽃.     杜鵑(두견)은 일명 '자규(子規)', '접동새'라고도 한다.     구성진 울음 소리는 恨(한) 많은 우리네 민족 정서와도 잘 맞아 문학에 자주    등장 한다.     정서(鄭敍)는 '내님을 그리사와 우니다니 산접동새는 이슷하 요이다'(『鄭瓜亭    曲』)라고 했으며,이조년(李兆年)은 '일지춘심 (一枝春心)을 자규야 아랴마    는 多情(다정)도 병인양 하여 잠못드러 하노라'고 노래했다.     杜鵑이 한을 상징하는 데에는 내력이 있다.     옛 중국의 촉(蜀)에 두우 (杜宇)라는 천신(天神)이 있었다.     너무도 인간을 사랑하여 하계(下 界)에 내려와 농사짓는 법을 가..

고사성어 2010.01.11

두 각(頭角)

故 事 成 語두 각(頭角)頭:머리 두. 角:뿔 각     머리 끝. '두각을 나타내다(見頭角·현두각)하면 많은 사람중에서 학업이나     기예 등이 유달리 뛰어나게 나타난다는 말     見頭角은 韓愈(한유)의 柳子厚墓誌銘(유자후묘지명)에 나오는 말인데 子厚    는 柳宗元(유종원)의 字. 한유와 유종원은 唐나라를 대표하는 문장 가로 唐宋    八大家(당송팔대가)에 들어가는 인물이다.     유종원은 한유보다 다섯 살 적었지만 5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유종원은 26세 때 博學宏詞科(박학굉사과)에 합격했으나 한유는 이 시험에    세번이 나 도전하고도 끝내 성공하지 못했다.     한유와 유종원은 서로 깊이 이해하면서 交遊(교유)했는데 古文의 부흥에 도    힘쓰는 등 문학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

고사성어 2010.01.11

동호지필(董狐之筆)

故 事 成 語동호지필(董狐之筆)董:동독할 동. 狐:여우 호. 之:갈 지. 筆:붓 필    '동호의 직필(直筆)'이라는 뜻. 곧     ① 정직한 기록. 기록을 맡은이가 직필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음을 이름.     ②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어 역사에 남기는 일.     춘추 시대, 진(晉)나라에 있었던 일이다.     대신인 조천(趙穿)이 무도한 영공(靈公)을 시해했다.     당시 재상격인 정경(正卿) 조순(趙盾)은 영공이 시해되기 며칠 전에 그의 해    학을 피해 망명 길에 올랐으나 국경을 넘기 직전에 이 소식을 듣고 도읍으로    돌아왔다. 그러자 사관(史官)인 동호 (董狐)가 공식 기록에 이렇게 적었다.    '조순, 그 군주를 시해하다.' 조순이 이 기록을 보고 항의하자 동고..

고사성어 2010.01.10

동 취(銅臭)

故 事 成 語동 취(銅臭)銅:구리 동. 臭:냄새 취     동전의 악취라는 뜻. 돈으로 관직을 산 사람을 비웃을 때 쓰는 말.     후한(後漢) 말기, 영제(靈帝) 시대에 이르러 차츰 왕조 말기 증상이 병적    으로 나타났다.     태평도(太平道)라는 사교가 일어나 수십 만의 신 도를 거느리게 되어 그    세력이 만만치 않았다.     한편 조정에서는 환관 이 득세하여 권세를 휘둘러 사복을 채우고, 마침내    는 국고의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관직을 파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 값은 관직이 고 하에 따라 달라 지방 장관은 2천만, 그 밑의 관직은 5백    만이라는 풍 문이 자자했다.     당시 최열이라는 사람이 5백만의 돈을 써서 사도(司徒)라는 관직을 샀다.    그는 아무래도 항간..

고사성어 2010.01.09

동식서숙(東食西宿)

故 事 成 語동식서숙(東食西宿)東:동녘 동. 食:먹을 식. 西:서녘 서. 宿:잘 숙    동쪽에서 먹고 서쪽에서 잔다. 먹을 곳, 잘 곳이 없어 떠도는 삶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이라고도 한다.     齊(제)나라에 시집가야 할 나이에 이른 한 처녀가 있었다.     어느날 그 처녀의 집에 두 곳에서 청혼이 들어왔다.     동쪽의 집의 신랑감은 인물은 보잘 것 없으나 대단한 부자였고 서쪽 집은    매우 가난했지만 신랑감은 보기 드문 미남이었다.     난처하게 된 부모는 당사자의 마음 이 중요하다며 딸에게 물어보았다.      "만일 동쪽 집의 총각에게 시집가고 싶으면 왼쪽 소매를 걷고 서쪽 집 총    각에게 시집가고 싶으면 오른쪽 소매를 걷어라"     한참 망설이고 있던 처녀는 양쪽 소..

고사성어 2010.01.08

동병상련(同病相憐)

故 事 成 語동병상련(同病相憐)同:한가지 동.病:앓을 병.相:서로 상.憐:불쌍히여길 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딱하게 여겨 동정하고 돕는다는 말.     전국시대인 기원전 515년, 오(吳)나라의 공자 광(光)은 사촌 동생인 오왕 요    (僚)를 시해한 뒤 오왕 합려(闔閭)라 일컫고, 자객을 천거하는 등 반란에 적    극 협조한 오자서(伍子胥)를 중용했다.     오자서는 7년 전 초나라의 태자 소부(太子少傅)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으로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있던 아버지와 역시 관리였던 맏형이 처형당하자 복    수의 화신이 되어 오나라로 피신해 온 망명객이었다.     그가 반란에 적극 협조한 것도 실은 유능한 광(합..

고사성어 2010.01.07

동 방(洞房)

故 事 成 語동 방(洞房)洞:동굴 동. 房:방 방     신혼 부부가 첫날밤을 보내는 방     아방궁(阿房宮)의 美女 삼고낭(三姑娘)은 진시황(秦始皇)의 폭정과 음일    (淫逸)을 참지 못해 화산(華山)으로 도망쳤다.     그전 분서갱유 (焚書坑儒)때 심박(沈博)이라는 서생도 참변을 피해 華山    에 숨어 들 었다.     두 사람은 자연스럽게 만나 나뭇가지를 향으로, 천지신명을 주 례로 혼례    를 올렸다.     그러나 산속이라 첫날 밤을 보낼 신방(新房)이 있을 리 없었다.     두 사람은 바위 아래에 있는 동굴(洞)을 신방(房)으로 삼아 첫날 밤을 보    냈다.     이리하여 '洞房'은 '동굴(洞窟)의 房'으로 신방을 뜻하게 되 었다.     지금은 신혼 부부가 사는 집을 뜻하지만 ..

고사성어 2010.01.06